-
공모주 청약일정 초간단 조회방법일상에 유용한 정보 2021. 9. 26. 20:56
공모주 청약일정 초간단 조회방법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모주 청약일정 및 청약방법, 공모주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공모주 청약
공모주란 공모 대상의 주식을 말하며, 기업에서 주식을 발행하기 법인이나 기관이 아닌 일반인 투자자자를 모집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모주 계약은 공모주 청약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아파트 청약과 같은 의미로, 일반인이 새롭게 상장하는 기업의 주식을 배정(분양) 받기 위한 계약 의사를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파트 청약은 분양사에서 하는 것처럼, 공모주 청약은 증권사에서 진행하며 해당 공모주의 청약 경쟁률과 청약자수에 따라 주식을 배정받게 됩니다.
'따상'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 있을텐데요. 공모주가 상장하게 되면 주가가 공모가보다 높게 형성되는데 이때 단기간에 높은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따상'이 예상되는 공모주들은 높은 경쟁률을 보이기도 합니다.
공모주 청약시 필수 확인사항
공모주는 잘 투자하면 단기간 내에 높은 시세차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잘못 부풀려 있는 공모주 청약은 오히려 상장 후 주가가 낮아지거나 공모가와 차익이 없어 손실을 보거나 차익을 얻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공모주 청약을 할 때에는 청약하고자 하는 기업의 실적, 순이익, 사업의 성장성, 시장 점유율 등 기업의 실적 추이를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기업의 실적추이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홈페이지의 증권신고서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모주 청약일정도 함께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 시 필요한 청약증거금
공모주 청약을 할 때에는 [청약증거금]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보통 공모주 청약금액의 50%로 공모주 청약을 하고자 할 때는 해당 청약금액의 50%에 해당하는 돈을 거래하고자 하는 증권사 계좌에 입금해야 합니다.
이때, 증권사에 따라 수수료 금액이 추가 될 수 있으니 수수료 여부를 확인 후 추가 입금해야 합니다.
ex) 예를 들어 A라는 공모주의 공모가가 10만 원이며 이 공모주를 5주 청약 시 원래는 50만 원의 금액이 필요하지만, 청약증거금은 담보의 형태로 50%만 입금하면 되기 때문에 25만 원만 입금하면 됩니다.
만일 5주 중 한주도 청약이 되지 않았거나, 1주만 청약이 되었을 경우에는 배정받은 주식을 제외한 금액은 지정된 환불 날짜에 모두 환불 받을 수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일정 초간단 확인
공모주 청약일정은 거래하는 증권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장 확실한 공모주 청약일정 확인방법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접속합니다.
2. 메인메뉴 중 공모게시판으로 들어갑니다.
3. 공모게시판의 지분증권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청양 시작일을 체크하여 가장 빠른 공모주 청약일정과 발행회사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청약하고자하는 공모주 발행 회사명을 클릭하면 증권신고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공모주 관련하여 확인해야 청약기간, 증권 수량, 청약증거금, 청약 증권사, 모집가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모추 청약 기업 실적 확인
증권신고서에서는 청약 일정 확인뿐만 아니라, 위에 언급했었던투자하기 전 필수적으로 체크해야 할 기업실적 추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3항의 재무에 관한 사항에서 재무제표를 확인하고, 회사의 개요 및 사업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일, 증권신고서에서 해당 재무제표 등 회사 정보가 보이지 않는다면 메인화면에서 회사명을 재검색하거나 증권신고서 우측 상단의 관련 문서 선택에서 관련 문서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와 같이 주식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는 주린이들을 위한 포스팅으로, 개인적으로 직접 검색하고 알아본 내용을 공유해보았습니다.
주변의 투자권유나 온라인에서의 카터다 통신만 믿지 말고 직접 기업도 검색해보며 주린이를 함께 졸업해봅시다.
▶ 관련글도 확인하세요.
'일상에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총정리 (0) 2021.09.24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방법 총정리 (0) 2021.09.22 잔여백신 2차 접종 단축 안내 (0) 2021.09.21 중저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신청 총정리 (0) 2021.09.19 자가격리 지원금 신청대상, 금액 총 정리 (0) 2021.09.17